가상화폐 시장이 다시 핫 하다.
400만원이 깨진걸 본게 얼마전인것 같은데 벌써 1400만원이 넘었다.
사실, 직전 고점엔 1500만원도 훌쩍 넘었더랬다 불과 한달 전에!
그런데 참 아이러니한게,
비트코인 가격이 400만원이 전후로 가격이 움직일 땐 비관일색인 시장이
1500만원을 찍으니 다시 장미빛 일색이었다가,
얼마전 1100만원 까지 빠질 때는 기술적분석 환경분석 등등 여러가지를 가지고 비판글만 있었더랬다.
요 몇일 1100만원에서 1400만원까지 기염을 토하듯 상승하는 비트코인을 보면서
시장은 또 장미빛 청사진을 내놓기 바쁜 것 같다.
(이 글이 올라갈 쯤, 요 몇일 급하게 상승시킨 폭을 어느정도 반납하는 조정이 나왔을 경우엔 분위기는 또 달라져 있을 것이다.)
한가지 확실한건,
가상화폐 시장은 더이상 기술적 진보나 전망보다는 시장수급에 영향을 더 받는 다는 것이고,
이는 블록체인과 가상화폐 시장이 더이상 한몸이 아닌 경우가 많아진 것을 반증 한다는 것이다.
마치, 부동산의 대명사로 강남 아파트가 꼽히듯
가상화폐 시장도 비트코인이 투자의 대명사로 수급이나 정책적, 환경적 주목을 받을 것이라는 소리다.
몇년째 변죽을 올리는 ETF 소식이나,
간간히 터지는 거래소 조사에 대한 악재, 무역 전쟁이나 지역 정세의 긴장이
가상화폐들에 대한 수요를 만들기도 하고 기피하기도 할텐데
오롯이 이 기대와 기피를 비트코인이 다 받을 것이란 이야기다.
(이제껏 부동산 시장을 생각해 보자, 단순히 부동산에 국한된 현상이 아니다.
시장은 항상 그래왔다. 주식시장은 대장주라 부르고 부동산은 강남 부동산이고, 콜라는 코카콜라다.
아직 조금 더 굳어지지만 않았을 뿐 가상화폐는 비트코인으로 고착화 되고 있을 뿐이다.)
위 그래프는 전체 가상화폐 시장에서 비트코인이 차지하는 비중이다.
비트 도미넌스라고들 부르는데, 일년동안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
비트코인이 1400만원을 왔다갔다 하는 판국에 "내 코인은 왜 안오르지?" 하는 말이 나올만 한 상황이다.
사실 이렇게 된 이유는 수요가 정지되고 이미 충분히 공급된 상황에서 단기 호재가 작용한 때문일 것이다.
(나는 가상화폐의 전문가는 아니지만, 이렇게 1등만 주목받는 시장은 공통적인 몇가지 이유가 있더라)
군소 코인이 난립한 상황에서 (공급이 많은 상황)
요즘 금리인하나 국가간 분쟁 같은 가상화폐 수요 개선에 대한 기대로 가격이 꿈틀 거리는 상황이지만 (장기호황X)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나 국가간 분쟁이 어느정도 지속될지 알 수 없고 "더이상 신규 자금이 쏟어져들어오지 않는다"면
섯불리 남들도 알까 싶은 코인에는 손이 안가는게 맞을 것이다.
그렇다고 1400만원이 상투고 이제 다시 폭락한다는 말을 하려는 건 아니다.
다만 더이상 비트코인 시장이 무조건 한방향으로 갈 수 있는 시장도 아니고
가격 자체도 프렉탈하게 움직이는데 정치경제 상황도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어
"예단하지 말자"는 의미다.
오히려 정치경제가 불확실성이 커지면 비트코인은 올랐다는 짧은 역사를 가지고 있으니,
"전고점이니 비트맥스 숏치자"는 생각은 접자는 이야길 하고 싶었다.
현금을 들고 있는 것은 지혜로움이고
현물을 들고 있는 것은 용감함이고
선물을 들고 있는 것은 무모함이라는 이야길 스스로에게 하고 싶었다.
'세계 경제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쉐일가스 업체 파산과 주가 폭락 (0) | 2020.04.02 |
---|---|
[20190819] 비트코인 시세와 전망 (0) | 2019.08.19 |
정치쇼? 일본 경제 보복과 진짜 광복의 기회 (0) | 2019.08.02 |
테슬라의 맥스웰 인수 뉴스와 2019년 LG화학 주가 (0) | 2019.02.05 |
2018년도 세계 경제 전망(위험 편) (0) | 2017.12.12 |